'생각'에 해당되는 글 2건

  봄 봄 봄 봄이 왔어요~

 

 따뜻한 봄날이 되니 그간 놓치고 살았던 엄청난 일이 떠올랐는데요.

 

 

 

 

 그것은 바로...

 

 '걷기'랍니다.

 

 저는 가정으로 방문하는 독서지도사.

 

 이렇다보니 주로 차를 타고 다니기 일쑤인데요.

 

 처음엔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다녔는데 1년 전서부터 차를 타기 시작했어요.

 

 차를 타기 시작하자, 얼마간은 날개를 단듯, 또 작은 사무실이라도 생긴 마냥 그리 즐겁고 편할 수가 없었지요.

 

 그러나 일년이란 시간이 지나자 저는 자동차 라는 '목발'이 없인 코앞의 거리에도 나아가기 싫어하는 '자발적 불구자'가 되어버렸지요.

 

 그러다보니 체력도 나빠지고 편한 것만 추구하려는 나태함이 가중되었습니다.

 

 미세먼지에 유난히도 매서운 겨울 한파가 차를 타야만 하는 합리화에 한 몫 톡톡히 했지만...

 

 '걷긴 걸어야 하는데' 이 생각이 제 머리 속에서 완전히 사라지진 않았죠.

 

 그러다가 그~~~렇게 기다리던 봄이 찾아왔네요.

 

 전 추위를 많이 타서 아직까진 얇은 패딩을 입고다니고 있지만... 오늘은 여차저차해서 좀 걸을 일이 생겼는데, 어찌나 상쾌하던지요.

 

 이 상쾌한 걸음을 잊고 살았다니.

 

 과거의 저는 익숙하디 익숙한 서울 시내를 밟으면서도 늘 여행자처럼 살았더랬죠.

 

 늘 무거운 짐 한채를 등에 지고 요리 조리 잘도 돌아다녔답니다.

 

 내가 사는 동네만 해도 제가 안가본 곳이 수두룩하고, 서울 곳곳에서 자꾸만 새로운 곳이 발견되니 늘 맘이 두근두근 했습니다.

 

 산티아고 순례길을 가기 위해 하루 6키로에서 10키로 까지 버스도 타지않고 걷기를 자처했고요.

 

 그런 저에게 프랑스 파리에 오래 머물던 친구가 말하더군요. '참 서울 살면서 이렇게 여행하면서 사는 사람 첨 본다고.'

 

 그랬던 저는 이제 쪼그마한 경차에 오만 살림 살이를 가득 싣고서 매번 같은 도로만들 오고 갑니다.

 

 차가 있으니 샛길이니, 골목이니 들어설 수가 없는 거죠.

 

 나 대신 무거운 짐 들어주는 것을 고마워 하면서, 그 안에 있으면 안전하다 자부하면서...

 

 여행의 여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여행을 다녀오고 나서 부터'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행의 그 짧은 순간을 인생에서 가장 최고의 순간으로 꼽고, 또 다시 떠나기만을 그리워하지요. 그 후유증이 너무 크고, 만사 제쳐두고 여행을 떠나기만 한다면 어쩌면 그것은 '현실도피'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겠지요.

 

 물론 일상을 살다가 여행을 떠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고, 어쩌면 조금 미쳐야(?) 가능한 일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이제 다시 일상을 여행하는 사람으로 돌아와야겠습니다.

 

 인생의 1/10도 채 되지 않는 여행기간만을 추억하며 살기에는 일상이 너무나 깁니다.

 

 아이들과 함께 할 때에도, '얼른 누구네 집에 놀러가서 즐겁게 책읽고 글쓰며 보내야겠다' 생각하고

 

 가는 곳곳의 풍경을 눈으로 담다가 골목길에 잠깐 새버리는 여유도 가질 것입니다.

 

 그리고 토요일에는 부지런히 서울을 돌아다니며 정을 붙여보도록 할 거예요~^^

 

 일단, 그 1탄으로 서울시가 밀고 있는 잘생겼다!에 소개된 곳들을 찾아가 볼 예정입니다.

 

 이곳은 월드컵 경기장 인근에 있는 '문화비축기지'입니다~ ^^

 

 

 

 

 

블로그 이미지

노지밥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하며 '인간다운게 무엇일까?','인생을 즐겁게 살자'를 고민합니다.

,

 

 

오전 중에 아침에 먹은 걸 설거지 하며, 신년기자회견을 들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약간은 느릿하면서도 진중한 사투리 억양이 들려왔지요. 그러다가 젊고 영롱한 한 여기자의 목소리가 들려왔는데, 그가 위안부에 관한 질문을 하더군요.

 

 순간 저는, 무거운 기운이 느껴졌어요.

 

 '아무리 문 대통령이라고 해도 어렵겠다. 저 자리는.'

 

 그러나

 이번 기자회견은 대통령이 눈이 마주친 질문자를 직접 선택하는 이례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요. 아주 즉흥적이고 자연스러운 느낌이 여태까지와는 정말 많이 달랐습니다.

 

 중간 중간 대통령의 껄껄 웃는 소리에 분위기는 점차 편안해지고, 오고 가는 대화 사이에 무거운 공기도 사라져갔습니다.

 

 그릇에 세제를 묻히고 물로 씻겨버리는 단순한 작업을 하다보면 참 여러가지 엉뚱한 생각들이 나는 것 같습니다.

 

 내가 저 자리에서 대통령께 질문을 한다면,

 

 얼마나 마음이 쿵쾅거릴까.

 

 하고 싶은 얘기의 몇 프로나 할 수 있을까.

 

 우리는 어른에게, 특히 영향력이 큰 자리에 있는 사람들에게 선뜻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합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주장'하는 게 참 어렵지요.

 

 위에서 아래로 명령이 상달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깁니다.

 

 요즘은 토론을 중요시하는 사회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것은 이론에 불과할 뿐 물과 기름처럼 아직도 둥둥 떠다닐 뿐이지요.

 

 

 저는 설거지를 하는 그 짧은 시간 동안,

 

 유교를 비판했습니다.

 

 유교는 선한 지도자가 있을 때만 그 효과를 발휘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유교의 가르침에 따라 악한 대통령, 악한 상사, 악한 부모에게 순종해야하지요.

 

 어떤 학자들은 서구 중심적 사상을 비판하기 위해 우리의 뿌리인 유교를 다시 짚어보자고 주장합니다. 

 

 미국의 대통령 기자회견의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며 그런 것을 꿈꾸었던 건 사실입니다. 청와대에서도 이제 그런 모습을 볼 수 있게 된 것이 어쩌면 이런 학자들에게는 불편한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조금 더 격식있고, 예의를 갖춰야한다고 생각할 지도 모를 일입니다.

 

 그러나 과연 유교가 우리의 전통일까요?

 

 어쩌면 우리 고유의 것을 너무나 오래 전부터 빼앗아, 토종 개구리인 척 하고 있는 변종 동물은 아닐런지 생각해봅니다.

 

 

 

 

 

 

 

 

 이런 건 언제봐도 참 신기하죠...^^

 옳다 그르다를 떠나서,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자면요 ~

 

 

 

 

블로그 이미지

노지밥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하며 '인간다운게 무엇일까?','인생을 즐겁게 살자'를 고민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