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1학년인데 아직까지 책을 읽어주는 게 바람직한 건가요?

 이제 혼자서도 충분히 읽을 나이가 된 거 같은데...

 계속 읽어주면 혼자서 못읽게 되거나, 습관을 잘못 들이는게 아닌지 걱정입니다.

 

 

 

 

아이에게 책 읽어주기 vs 아이 혼자 책 읽게 하기

 

A. 아이들이 스스로 책을 읽기 시작하면 혼자 책을 읽는 '읽기 독립'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책 읽어 주기를 계속 할지 고민합니다. 그러나 아이가 글자를 읽기 시작했다고 해서 무조건 스스로 읽게 하는 것은 책 읽기를 더욱 어렵게 느껴 독서에서 멀어지게 하는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읽기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원할 때 충분히 읽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부모가 책을 읽어 주는 것은 독서 활동뿐 아니라 사고나 인성 발달의 측면까지 좋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지요.

 혼자 읽기를 막 시작한 아이들은 글자에 집중하여 읽느라 내용을 상상하는 활동을 놓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가 읽어 주면 책의 내용을 들으면서 혼자 읽으며 놓치기 쉬운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도 있습니다. 또 책의 내용을 집중하여 듣는 것은 주의력이 강화되고, 듣기와 이해력 증진에도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이 책을 읽어 주는 것을 사랑과 관심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책 읽기를 즐겁고 행복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부모님이 책을 읽어주는 것은 부모의 사랑과 배려, 이해가 모두 담겨 있는 활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책 읽기 자체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좋아하게 됩니다.

 부모님이 책을 읽어 주는 것은 아이들에게 어떻게 책을 읽는지 보여 주고 들려주어 자연스럽게 책 읽는 방법을 알려 주는 방법입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목소리를 들으며 정확한 발음과 책을 어떤 속도로 읽어야 하는지, 의미에 맞게 읽기 위해서는 어디에서 끊어 읽어야 하는지 등 읽는 방법을 배우게 되고, 그러한 경험을 토대로 유창하게 읽기가 무엇인지 알게 됩니다. 글자를 읽는 것뿐 아니라 내용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정보를 얻는 올바른 읽기를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읽기 독립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책 읽어 주기는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받으며 책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해 주고 자연스럽게 책 읽는 방법을 알게 해 주는 활동입니다. 아이들의 독서 습관을 잘 관찰하여 올바른 책 읽기 습관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위의 자료는 한우리독서신문 2018년 1월호의 독서지도 Q&A에서 발췌하였습니다.

 

 

 A. (노지밥) 언제까지 책 읽어주어야 하냐고 물어보는 어머님들이 많은데, 저는 그렇게 말합니다. 아이가 원할 때까지, '책 읽어줄까?'라고 물었을 대 '아니'라고 한다면 그 때 멈추세요.

 이렇게까지 얘기해도 굳이 학년을 물어보시는 경우가 많은데, 저는 3학년 까지는 책을 계속 읽어주시면 좋을 거 같다고 말합니다. 4학년서부터는 책 읽어줄까? 물어보면 원치않는 친구들이 많으니까요.

 책을 읽어주었을 때 아이와의 교류, 엄마 스스로도 책에 몰입하며 느끼는 즐거움을 만끽하며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부디 책읽기를 너무 학습으로만 생각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엄마와 함께 하는 재밌는 책읽기 시간~ 도움될만한 자료를 소개합니다.

 

 http://nojibob.tistory.com/m/9

블로그 이미지

노지밥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하며 '인간다운게 무엇일까?','인생을 즐겁게 살자'를 고민합니다.

,

[노지밥]그런데 임금님이 꿈쩍도 안 해요 - 수업자료.hwp

 

 

유투브 동영상 촬영을 전제로 수업을 무료로 해드립니다. 다만, 팀수업(3~4명)이어야 합니다 ^^ 댓글로 신청해주세요.

 

아이들에게 재밌는 추억도 만들고, 직접 독서지도 할 수 있는 팁을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글 오드리 우드|그림 돈 우드|역자 조은수|보림

 

책소개

한번 목욕통 속에 들어가면 좀처럼 나올 생각을 안 하는 우리 아이들. 목욕통 속에서 뭐 그리도 할 일이 많은지 장난감을 잠수 시켰다가 꺼냈다가 재미있어 한다. 여기 이 임금님은 수염 난 아이처럼 목욕통 속에 들어가서 도무지 나올 생각을 하지 않는다. 싸움터에도 나가야 하고, 점심도 먹어야 하고, 낚시도 해야 하고, 가면무도회도 해야 하는데 말이다. 기사와 왕비, 공작들은 모두 자신에 차서 임금님을 찾아가지만, 번번히 실패하고, 결국 시중드는 아이가 일을 해결해 보려고 나선다.

글과 그림 모두 반복의 형식을 취하며, 해 뜬 아침부터 달 뜬 저녁까지 빛과 어둠을 노랑과 보라를 주조로 해 대비를 잘 보여주며, 자신에 차 있는 여러 계층의 인물들을 풍자적으로 보여주면서도, 인물의 표정이 직접 눈앞에 보는 듯이 실감이 난다.

[예스24 제공]

 

 

글쓴이 소개

오드리 우드

지은이 오드리 우드ㆍ돈 우드

부부는 함께 뛰어난 그림책을 여러 권 만들었습니다. 이 책 <그런데 임금님이 꿈쩍도 안 해요!>는 칼데콧 상 명예상을 받았습니다. 이 책에 나오는 시중드는 아이는 우드 부부의 아들, 브루스 로버트 우드와 꼭 닮았다고 합니다. 그 밖의 작품으로는 <낮잠 자는 집> <꼬마 돼지> <달피리> 등이 있습니다. 경쾌한 글과 활기 넘치면서도 세련된 그림이 특징입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작가에 대해 더 알아보기

http://cafe.daum.net/2005alzzam/GyJZ/37?q=%BF%C0%B5%E5%B8%AE%20%BF%EC%B5%E5&re=1

 

 

 

 첫 번째, [독서 전 지도]

 

- 표지 질문하기

표지를 보세요. 임금님은 어디에 있나요?

임금님 앞에 있는 사람들은 누구지요? 무엇을 하고 있나요?

 

- 마음열기 질문

1. 임금님이 꿈쩍도 하지 않는다면 그 나라에는 어떤 일이 생길까요?

2. 꿈쩍도 하기 싫었던 순간이 있나요? 그때는 언제고, 결국 어떻게 되었나요?

 

 

두 번째, [독서 중 지도]

 

- 그림 살펴보기

첫 페이지에는 시중드는 아이가 제 몸만 한 물통을 이고서 계단을 오르는 장면이 나와요.

뒤쪽에 힘겹게 일을 하는 시중드는 소년을 찾아보아요.

어른들의 표정과 소년의 표정을 비교해보아요.

그림에는 중심부가 있고, 뒤편에 희미하게 부수적인 인물이 그려져 있어요. 그 다음 페이지에는 그 인물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 살펴보는 재미도 쏠쏠해요.

재밌게 읽기 조언 : 반복적인 텍스트 활용하기

여러분 큰일 났어요! 임금님이 목욕통 안에서 꿈쩍도 안 해요! 누가 임금님 좀 나오게 해 주세요!”

-> 반복적인 텍스트는 아이들에게 친근함을 준다. 이번에는 누가 해결할까 궁금증을 준다.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아이들과 외쳐보자!

 

- 의성어와 의태어 말하기

 

1) 기사와 전쟁할 때 - 쿵쾅, 쿵쾅, 쿵쾅

2) 왕비와 식사할 때 - 냠냠, 쩝쩝, 냠냠

3) 공작과 낚시할 때 - 뻐끔, 뻐끔, 뻐끔

4) 신화들과 가면무도회할 때 - 쿵짝, 쿵짝, 쿵짝

5) 마개를 뽑았을 때 - 꾸룩 꾸룩 꾸르르룩

 

- 주제 이해하기 : 다음의 질문들은 쓰기나 말하기로 활용해요!

1. 이 중 어느 때가 가장 재밌을까요?

2. 목욕탕에서 새롭게 해보고 싶은 것 이야기하기

3. 임금님은 왜 목욕탕에서 하루 종일 나오지 않았을까요? (인터뷰방식)

4. 왜 소년은 처음부터 마개를 뽑지 않았을까요? (인터뷰방식)

5. (어른용 질문) 이 시대에 빗대어 이 이야기를 해보자면?

 

 

세 번째, [독서 후 지도]

 

시중드는 소년과 임금님 중 한 사람이 되어 일기 써보기~

 

첨부한 한글 문서에 활동지도 함께 만들어 놓았답니다~ 다운 받으셔서 이용하세요 ^^

블로그 이미지

노지밥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하며 '인간다운게 무엇일까?','인생을 즐겁게 살자'를 고민합니다.

,

 [아거는 별림애게 소원을 비러씁니다. 머기를 주새요.]
 
 엄마 : 앗, 고칠 게 많네~ 엄마랑 한번 고쳐볼까?
 
 아들 : 소리 나는 대로 다 잘 썼는데 왜 그래~
 
 [악어는 별님에게] 고치는 중
 
 아들 : 아아, 지우지마~ 힘들게 썼던 말이야~
 
 엄마 : 힘들게 썼으니까 바르게 고쳐야지.
 
 아들 : 그냥 넘어가자, 응?
 
 엄마 : 안돼.
 
 아들 : 왜?
 
 [악어는 별님에게 소원을 빌었습니다. "먹이를 주세요."]
 
 아들 : 아, 힘들어 그만할래. 자꾸 고치는 거 시키면 안 할래~
 
 엄마 : 맞춤법에 맞게 잘 고쳐서 쓰는 게 중요해. 힘들어도 해보자.
 
 아들 : 아, 왜~
 
 
 바로, 이때!!!
 
 우리 엄마들은 무어라 말해주면 좋을까요?
 
 하나, 맞춤법을 익히는 것은 자기 생각을 상대방에게 더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입니다. 
 
 기발한 발상들과 풍부한 감상, 설득력도 중요하지만, 서로 간의 약속인 맞춤법을 잘 지켜준다면 말하려는 의도가 더 분명하게 전달되겠죠?
 단순히 공부를 위한 공부, 받아쓰기 시험을 위한 맞춤법 공부가 아니라 실생활에 꼭 필요한 점이란 걸 강조해주세요~ 
 
 둘, 나중에 남자친구, 여자친구 사귈 때 매력이 훅 떨어진다는 점을 알려주세요. ㅋㅋ
 
 
 
 
 이렇듯 많은 분들이 맞춤법을 틀리는 이성친구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는 점...!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성인이 돼서 맞춤법을 심하게 틀리게 되면 그다지 좋은 인상을 줄 수 없다는 점을 상기시켜주세요.
 
 (이 부분은 좀 억지스러운 부분이 없잖아 있지만 잘 먹힌답니다 ^^)
 
 
 그렇다면!!!
 
 맞춤법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하나, 발음과 실제 글자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글의 앞부분에서 보여드린 엄마와 아들의 대화처럼 모든 글자를 다 소리 나는 대로 쓰지 않는다는 점을 알고, 틀릴 때마다 고쳐가며 익혀야 합니다.
 
 처음에는 조금 더디더라도 글을 쓸 때마다 반복해서 고치다 보면 자연스레 익힐 수가 있지요.
 
 특히 자주 틀리는 부분에 대해서는 포스트잇에 적어 잘 보이는 곳에 붙여주세요!
 
 
둘, 다양한 예를 통해 맞춤법의 여러 규칙을 파악합니다.
 
 맞춤법이라고 해서 전부 다 외울 필요는 없지요.
 
 비슷한 방법으로 반복되는 것들이 있다면 함께 규칙을 발견해 보아요.
 
 잡아요[자바요] 웃어요[우서요]
 
 앞의 받침 'ㅂ'과'ㅅ'이 뒷글자 초성이 'ㅇ'일 경우 뒤로 넘어가 발음된다는 것 같은 걸 함께 발견해보는 거지요.
 
 접어요[저버요] 벗어요[버서요]도 마찬가지네!!
 
 
 셋, 책을 읽고, 재밌었던 장면을 짧게라도 써보면 좋아요!
 
 감상문을 적는 게 아니에요. 일종의 필사처럼, 한 문장씩 따라 적어보는 거예요.
 
 
 그런데 내가 맞춤법 고쳐준답시고 틀리면 어쩌나 걱정하는 엄마들 계시죠?
 
 
 걱정 마세요! 이 노지밥 선생님이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앞으로도 계속해서 맞춤법 시리즈를 연재할 예정입니다~ ^^
 
 조금만 기다려주세요!
 
 
 

 

블로그 이미지

노지밥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하며 '인간다운게 무엇일까?','인생을 즐겁게 살자'를 고민합니다.

,

 안녕하세요.

 독서지도사 노지밥입니다.

 

 오늘은 제가 가장 애독하는 [그림책]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림책하면, '아, 그림만 있는 책인가요?'하고 물어보시는 학부모님들이 계세요.

 그래서 굳이 그림과 글자가 있는 책을 '그림동화책'이라고 따로 지칭하시곤 하는데...

 

 그림책이란 말 속에, 글자와 그림이 같이 있는 책까지 포함하고 있는 거랍니다.

 

그림으로만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과 그림과 글이 어우려져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있는데, 글이 없어도 그림책은 성립되지만 그림이 없으면 그림책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그림책에서 그림은 불가결한 절대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림책 [picture books, ─冊] (두산백과)

 

  글이 없는 동화책 중 대표적인 작품을 소개해드리자면,

 

 데이비드 위즈너의 '구름공항'이 있는데요.

 

 

 이 책을 보며, 아이들이 어찌나 신나게 얘기해주던지요!

 

 책을 같이 보는 엄마들도 궁금한 점이 있으면, 오히려 아이에게 질문해보세요~

 

'너만이 이 이야기의 진실을 알고 있어! 아하, 그런 이야기구나~ 덕분에 알겠어' 하면서 열심히 리액션 해주기~*

 

 아이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다보면 굉장히 신선하고 재밌을 거에요!

 

 하지만, 그런 적극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는다고 해서 아이를 닥달하시면 안됩니다. 그럴때 엄마쪽에서 그림을 보면서 느껴지는 것들을 조금씩 던져보는 거죠. 그러면서, '엄마 생각이 맞을까?' 넌지시 질문을 던져보는 거죠.

 

 그림책은 그야말로 열린 과정, 열린 결말이거든요~

 

 다만, 아이의 과정에 성급한 결말을 내리지 않도록, '인내'하는 것이 중요하죠 ^^

 

 

 다음으로 글이 있는 그림책으로 하나 소개를 드리자면 (너무나 많지만)

 

 오드리 , 돈 우드 부부의 그림책 [그런데 임금님이 꿈쩍도 안 해요!]입니다.

 

 

 

 

목욕탕에서 좀처럼 나오질 않는 임금님... 보다못한 기사가 나서서 싸움터에 갈 시간이라고 일러주자, 목욕하면서 전쟁하자는 임금님...^^;

 

 

 참고로 이 두가지 책은 공통점이 있는데요. 바로 칼데콧상 수상작이란 점입니다 ^^

 

 칼데콧상은 매년 여름 미국 도서관 협회 분과인 미국어린이도서관협회에서 그해 가장 뛰어난 그림책을 쓴 사람에게 주는 문학상으로 같이 문학 부문에서 수상되는 뉴베리상과 함께 그림책의 노벨상이라 불린다.

19세기 후반의 영국 그림책 작가 랜돌프 칼데콧의 이름을 따 제정되었으며 1939년부터 시상되었다. 칼데콧 메달과 칼데콧 아너 상으로 나뉘어 수상하고 있다.

다만 그림을 창작이여야 하고 미국 국적을 가진 사람이나 미국에 거주하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다.

그림책은 대체로는 아이들을 위해 만들어지지만, 어른들을 위한 이야기도 많답니다. 개인적으로 위에 말씀드린 [그런데 임금님이 꿈쩍도 안 해요!]같은 작품은 소장해두고서, 지인들에게 읽어주고 싶은 책이에요^^

 

 과연 어떤 이야기들이 나올지...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책나눔을 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조만간 소소한 취미로다가 이러한 자리를 마련하려고 한답니다~

 

 바로 바로, 어른들을 위한 독서지도!!!입니다~

 

 내가 독서지도가 필요하다, 아니면 지인 중에 이 사람은 정말 받아야 한다 하시는 분들 신청해주시면 좋을 거 같아요 ~^^

 

 일단은 제 지인 중에도 독서지도가 필요한 사람들이 많아서, 이 사람들부터 좀 해결(?)하고 신청받도록 할게요~

 

 많이 많이 기대해주세요~^^

 

 물론 우리 아이들도 서울 거주자에 한하에 찾아가는 독서지도클럽을 개설하고자 합니다~ 수업때 모습을 영상에 담아 공유하도록 할게요!

 

 재밌을 거 같지요???

 

 독서지도가 필요한 사람들, 여기 여기 모여라~~~

 

 관심 있으신 분 댓글 남겨주세요~^^

블로그 이미지

노지밥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하며 '인간다운게 무엇일까?','인생을 즐겁게 살자'를 고민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