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독서지도사 노지밥입니다.
얼마 전,
동료 독지사쌤과 점심 식사를 하면서 우리가 하는 일이 참 보람되는 것 같다, 나에게 잘 맞고, 오래 할 수 있는 일이란 이야기를 했었지요.
많은 어머니들이 독서수업을 단순히 '초등 국어'라는 카테고리 안에 집어넣은 경우가 많습니다.
틀린 말은 아니지요.
하지만 책을 통해 이야기를 하고, 글로 표현한다는 것은 아이들의 정서를 다독이고 감정을 이해하며, 잠재된 언어 능력까지 이끌어낼 수 있는 다방면의 수업이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 독지사 선생님들도 이 일은 보람된다고 이야기 할 수 있는 거구요.
하지만 문제는 저도 사람인지라, 초심을 잃고 본질을 까먹는 일이 생긴다는 겁니다.
예를 들면 학생 수가 늘면서 더이상 끼워넣은 빈 시간이 없자, '아이를 가려받고 싶은'생각이 스믈 스믈 올라오는 것이죠.
내가 독서 수업 하러 왔지 아이 인성교육까지 할 필요는 없지 않느냐... 수업 태도가 몹시 좋지 않는 아이와 함께 하다보면 조금 고생을 덜 할 수 있는 길을 찾게 되기도 합니다.
지금 내 수업을 듣고 싶어서 티오가 나길 기다리는 아이들이 있는데 굳이 얘랑 계속 가야하나... 엄마가 회비도 잘 안주는데, 확 짤라버려? 하는 생각이 몽글몽글 어느새 머리 속을 꽉 채울 즈음,
그 힘든 아이의 수업때가 마침 찾아옵니다.
오늘도 울고불고 수업 시작하기조차 쉽지 않은... 조금 뒤 눈물을 그치고 자리로 돌아온 아이, 책 읽는 것도 좋아하고 관심도 많지만 뭔가 심기가 불편한 일이 생길라치면 눈물로 반응합니다.
시작은 쉽지 않았지만 수업은 잘 마쳤습니다. 그리고 그 엄마가 하는 말이 아이가 그나마 지금은 많이 좋아졌는데, 이러 이러한 부분에서 자주 저런 반응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듣다보니 아이의 성향이 어떤지, 왜 지금까지 그런 반응이 나온 것인지 이해가 되더군요.
그리고 회비 부분도 나름대로 사정이 있었으며, 다른 방도를 써서 앞으로는 미리 주겠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물론 그 집안 사정, 학부모의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모두 다 신경쓰다가는 이 일을 길게 하진 못할 것입니다. 그러나 때로 그런 이야기들을 본의 아니게 듣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이제야 소통이 시작된 것이지요.
뭐 이런 수업 하나 하면서 소통까지 운운하느냐 이야기 하실 분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지식만 전달하고 돌아오는 사람들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일을 시작하게 되신 분들도 있을 테지요.
가끔 수업하다가 아이와의 소통을 놓치고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줄거리를 파악하고, 단어공부에만 급급하고, 이야기가 아이 마음 속에 제대로 녹여지지도 않은 상태에서 수업의 흔적만 남기려하는 일이 없어야 하겠지요.
소통을 하면 본질을 다시 찾게 됩니다.
아이들 머릿수만 생각하고, 어떻게 하면 여기서 돈을 더 벌 수 있을까 생각하면 골치가 아파집니다.
세상이 말하는 '숫자'와 '효율'에 집중하면 이 일이 어렵고 피곤해집니다.
본질을 알면 세상을 역행하게 됩니다.
우리는 어쩌면 '증인'이 되어야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야기의 힘'을 믿는 사람들.
'표현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사람들.
사실 다른 이에게 전하면서 내게 더 확실해지는 것이죠.
'인생은 기다림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간 놓치고 살았던 엄청난 일! (3) | 2018.03.11 |
---|---|
어떻게 살면 좋겠습니까? (0) | 2018.02.28 |
인생은 기다림이다 (0) | 2018.01.23 |
독서지도사 노지밥입니다. (0) | 2017.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