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독서지도사 노지밥입니다~

 

 낮기온이 10도 안팎인 요즘, 누가 뭐래도 봄님이 성큼 다가와주셨는데요...^^

 

 '제가 님을 어찌나 기다렸는지 모르시지요. 올 겨울이 유난히도 혹독했던 거 아시지요. 아아, 봄님. 마침내 오셨군요!' 너무 기뻐 새어나온 혼잣말이었고요. ^^;

 

 각설하고, 초등 저학년 대상의 책 한권 소개해드릴랍니다.

 

 

달래네 꽃놀이 / 김세실 글, 윤정주 그림 / 책 읽는 곰 펴냄

 

 표지는  요로코롬, 주인공 달래가 진달래 꽃잎을 야금야금 먹고 있는 모습입니다. 책 내용에서 진달래는 새큼달큼한 맛이 난다고 해요. 계속 먹다보면 입주위에 까매진대요.

 

 궁금한 맛이네요 ^^

 

 이 책은 '책 읽는 곰' 출판사의 우리 문화 그림책 시리즈 중 하나이고요.

 

 책 배경은 4,50년대인 거 같아요.

 

 옛날에는 여자들의 바깥나들이가 쉽지 않아, 음력 33일 삼짇날에 산으로 들로 화전놀이를 나갔다고 해요.

 

 달래네집 여자들 3대가 화로니, 숯이니, 소쿠리 쟁여들고 산길 개울가로 떠나요.

  

 달래는 언니들과 진달래도 따고, 쑥도 캐고 나비점도 치지요.

 

 진달래 화전을 해먹고, 꽃싸움을 하고, 장구치는 장면이 나와요.

 

 

 

 

 봄이 우리에게 주는 기쁨을 온전히 만끽하는 선조들의 모습이 참 매력적이지요.

 

 꽃놀이 하는 모습도 살펴보고, 옛날 부엌의 물건도 살펴보면서 옛정서와 함께 봄기운을 느끼면 좋을 거 같아요.

 

 다 읽고 나면 분명 아이들과 화전 얘기가 나올테니 계절별 꽃들과 화전으로 쓸 수 있는 꽃들을 분류하는 활동을 간단히 만들어보았습니다.

 

 

달래네꽃놀이.hwp

 

: 배꽃, 진달래, 유채, 목련, 민들레, 벚꽃, 개나리

여름 : 장미, 해바라기, 카네이션, 무궁화, 봉숭아, 연꽃

가을 : 국화, 코스모스, 방울꽃

겨울 : 동백나무, 수선화

화전 가능 꽃 : 배꽃, 진달래, 봉숭아, 연꽃, 국화, 민들레, 개나리


진달래, 배꽃, 연꽃, 봉숭아(사진 순서대로 표기함)는 밑에 글자 표시 안 되어 있습니다

 

 

+)화전 만드는 방법도 링크 걸어놓았어요 ^^

 

http://www.10000recipe.com/recipe/1870227

 

 간혹 화전이 맛없어보인다며 먹기는 꺼려하는 친구들이 있다면 지점토로 만들어보는 방법도 있어요 ~*

 

 

블로그 이미지

노지밥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하며 '인간다운게 무엇일까?','인생을 즐겁게 살자'를 고민합니다.

,

 안녕하세요~ 독서지도사 노지밥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봄방학 잘 보내고 계신가요~

 

 이제 새학기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아이들과 지지고 볶느라 지칠 대로 지쳐버린거 아니겠지요~

 

 방학 동안, 아이와 더 오래 시간을 보내면서 학교 보낼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면...

 

 

 

 다음의 질문들을 보며 스스로 점검해보세요.

 

 1. 나의 어린 시절을 기준으로 내 생각을 자녀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하고 있지는 않은가?

 

 2. 자녀와 함께 아침 식사를 하는가?

 

 3. 자녀의 등교 시간이나 식사 시간을 잔소리하는 시간으로 쓰고 있진 않는가?

 

 4. 나의 잘못을 인정하기 싫어서 자녀를 핑계 삼은 적은 없는가?

 

 5. 이미 저지른 잘못에 대해 자녀가 깨달았음에도 불구하고 두고두고 되풀이하여 야단친 적은 없는가?

 

 6. 자녀에게 잘 대하고 못 대하는 것이 내 기분에 의해 좌우된 적은 없는가?

 

 7. 아이가 힘들어 할 때 잘잘못을 따지지 않고 조용히 격려해 주는가?

 

 8. 자녀와 가장 친한 친구는 누구인지, 자녀가 좋아하는 사람은 누구인지 알고 있는가?

 

 9. 자녀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이 되고 싶어 하는지를 알고 있는가?

 

 10. 자녀가 이룬 것이 아무리 사소할지라도 진심으로 기뻐하고 칭찬해 주는가?

 

 11. 자녀와 함께 즐거운 대화, 노는 시간을 갖고 있는가?

 

 

 하나 하나 읽으며 그저 한숨만 쉬고 계신다면

 

 이제 우리가 바뀌어야할 때~

 

 단번에 모든 것이 바뀔 수는 없겠지요.

 

 이 중에 단 하나라도 마음 깊이 고개 숙여지는 문항이 있다면 그 부분에 집중해 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

 

 자녀와 함께 행복한 봄맞이 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이 글은 한우리독서신문 2018년 3월호에서 참고하였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노지밥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고 생각하며 '인간다운게 무엇일까?','인생을 즐겁게 살자'를 고민합니다.

,